Skip to content

조회 수 3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 장궤(長跪, Genuflexion, Genuflexio)[장궤]
-허리를 바로 세운 채 오른쪽 무릎을 꿇는 절이나, 양 무릎을 꿇은 자세로 존경을 나타내는 행위.



일반적으로 무릎을 꿇은 행동은 상대방에게 용서를 청하거나 무언가를 애원할 때 사용되곤 한다. 이 행동에 자신의 무력함을 인정하고 자비를 바란다는 의미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전례 안에서 장궤의 쓰임도 이와 비슷하다. 하느님과 교회 앞에서 나의 잘못과 약함을 인정하거나 하느님께 간절히 무엇인가를 청할 때 장궤가 사용된다. 특별히 성경에서도 솔로몬이 “무릎을 꿇고, 이스라엘의 온 회중 앞에서 하늘을 향하여 두 손을 펼치고서”(2역대 6,13) 기도했듯이 하느님을 향한 흠숭을 드러내는 자세로도 쓰인다.

장궤는 오른쪽 무릎을 꿇어 인사하는 무릎 절과 양 무릎을 꿇고 있는 자세를 모두 말한다. 다만 유럽식 인사인 무릎 절이 한국문화에 어울리지 않는 관계로 한국 교구에서는 깊은 절을 사용한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지역의 전통이나 문화에 어울리지 않으면 주교회의가 사도좌의 동의를 얻어 대신할 표지를 정할 수 있다.(전례헌장 40항)

따라서 한국에서 ‘장궤’란 단어는 주로 ‘양 무릎을 꿇는 자세’를 일컫는다. 미사 중 신자들은 성체와 성혈의 축성 때 무릎을 꿇는다. 「미사 경본 총지침」은 “건강 문제나 자리가 좁거나 사람인 너무 많거나 또는 다른 합당한 이유로 방해를 받지 않는 한 성체 성혈 축성 때는 무릎을 꿇어야 한다”고 지시하고 있다. 그리고 “축성 때 무릎을 꿇지 않는 이들은 축성 뒤 사제가 무릎을 꿇을 때에 깊은 절을 해야 한다”(43항)고 명시하고 있다.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미사 중 감사기도 동안 장궤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사 중이 아니더라도 하느님 앞에서 겸손하게 스스로를 낮추는 장궤는 기도 자세의 기본이다. 예수도 수난 전 겟세마니에서 기도할 때 “무릎을 꿇고 기도”(루카 22,41)했다. 평소에도 하느님 앞에 겸손한 모습으로 장궤를 하며 기도해보면 어떨까.

이승훈 기자 joseph@catimes.kr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가톨릭 신문사에서 옮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일상 기도문 - 『기톨릭 기도서』에서 이상훈(요셉) 2019.06.12 608
37 입당 성가와 입당송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1.26 265
36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01 249
35 참회 예식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07 227
34 자비송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16 228
33 대영광송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22 211
32 본기도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28 193
31 말씀 전례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07 207
30 미사에서 복사의 역활 (대복사와 소복사) 이상훈(요셉) 2025.03.11 449
29 성경의 선포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16 201
28 부속가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21 151
27 복음 환호송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29 201
26 복음 선포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4.05 167
25 성당과 천주교회의 차이 file 이상훈(요셉) 2025.04.07 217
24 성주간의 전례와 의미! 성삼일 전례! file 이상훈(요셉) 2025.04.14 235
23 신앙 고백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4.25 173
22 예물 봉헌과 봉헌 성가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07 167
21 신앙의 신비여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09 190
20 평화의 인사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16 152
19 성령 칠은 4 장양숙(미카엘라) 2013.05.21 993
18 하느님의 어린 양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24 180
17 성체 성가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30 166
16 전례 안에 현존하시는 그리스도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6.07 155
15 은총을 주는 성사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6.13 133
14 전례 주년 1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6.20 139
13 천주교회/성당/본당이라는 용어는 어떻게 사용해야 자연스러울까요? file 이상훈(요셉) 2025.06.24 149
12 전례 주년 2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6.27 129
11 주일 1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7.04 124
10 주일 2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7.11 106
9 공소 예절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7.19 72
8 주간 평일 전례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7.25 53
7 성사, 은총의 감각적인 표징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8.01 53
6 성사 2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8.08 45
5 미사 예물의 봉헌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8.15 5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미 사 시 간
구분 남지 부곡
   
19:30  
10:00  
19:30
10:00
3월~9월(하절기)
20:00
10월~2월(동절기)
19:00
주일 10:30  

50357 창녕군 남지읍 동포로 18 남지성당
전화 : 055-526-2268 , 팩 스 : 055-526-2262

Copyright (C) 2020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