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래 글은 네이버 지식인에서 가져 왔습니다.

아주 설명이 잘 되어 있어서 저도 같이 배우려고 여기에 올립니다.

--------------------------------

질문내용 - 천주교 미사에서 소복사와 대복사의 차이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가능하시다면 복사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하신분-kkachi

우주신(사람과 그룹 57위, 환경 21위, 인사, 조직 관리 8위 분야에서 활동)

 

♡모든것이 은총입니다 ♡

안녕하세요~^^

자료 전해드립니다.

복사직 2명을 기준으로 한명은 대복사 또다른 한명은 소복사로 정합니다.

맡은 역활의 차이입니다.

주복사 부복사라고도 합니다.

 

(참고하세요)

 

복사는 일반신자 중 가장 가까이 제대 앞에 서고 성체 옆에 있으며 신부님을 보좌합니다.

우스개 소리로 가장 은총을 많이 받는다고 합니다.

복사는 신자들 앞에 서기 때문에 용모도 복장도 단정히 해야 합니다.

 

복사가 하는 일은 맡은 직에 따라 다릅니다. 향, 향합 복사, 초 복사, 시종 복사, 십자가 복사 등이 있고

특별한 경우 주교님을 모시는 경우 등도 있는데 모든 것 설명하면 너무 양이 많아지니

일반 미사전례에 따른 시종복사의 역할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복사직 2명을 기준으로 한명은 대복사 또다른 한명은 소복사로 정합니다.

대복사는 신자가 제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왼쪽, 소복사는 오른쪽에 섭니다.

 

(지금 부터 왼쪽, 오른쪽은 신자가 제대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미사 시작 10분 전 복사는 제대 앞으로 (합장 자세로) 나가

인사를 하고 심지에 불을 붙여

대복사가 왼쪽으로 제단에 올라 제대초에 불을 붙입니다.

초가 2개 이상일 경우 제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붙입니다.

다시 제대 앞으로 내려와 제대를 바라 보고 인사를 한 뒤

오른쪽으로 올라 같은 방법으로 불을 붙입니다.

다시 내려와 제대에 인사를 하고 제의방으로 들어 가서 신부님을 기다립니다.

 

복사는 앉아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서 있을 때나 걸을 때나

항상 합장하고 바른자세로 서 있어야 합니다.

 

신부님이 제의방에 들어 오시면 신부님께 인사를 하고 신부님은 제의로 갈아 입으십니다.

이때 신부님의 특별한 요청 없이는 신부님이 제의를 갈아 입으시는 것을 도와서는 안됩니다.

(밖에서는 신자들이 입당성가를 부르고 있습니다.) 제의를 다 갈아 입으신 신부님은

잠시 기도 후 고상을 향해 절을 합니다. 이때 복사도 같이 절합니다.

 

그리고 복사가 제의방 문을 열고 나갑니다. (보통 제의방 문은 신부님이 닫고 나오십니다.)

제대 앞으로 신부님 앞에 서서 입장하는데 너무 빨리 나가면 안되고 항상 신부님의 템포에

눈치껏 맞추셔야 합니다.

 

제대 앞에 왼쪽에 대복사 가운데 신부님 오른쪽에 소복사가 섭니다.

신부님과 함께 제대에 절을 하면 소복사는 한발짝 뒤로 물러나

신부님이 제단에 올라가는 길을 비켜 줍니다.

(신부님은 제단에 오르실 때에는 항상 오른쪽으로 오르시고

내려오실 때에는 항상 왼쪽으로 내려오십니다.)

신부님이 제단에 오르시기 시작할 때에 대복사는 왼쪽으로,

소복사는 오른쪽으로 올라 제대 양 옆에 서고 신부님이

다시 제대에 인사를 할 때에 같이 인사를 합니다. (계속하여 합장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 입당성가

- 인 사

- 참 회

신자들이 하는 기도 역시 복사도 따라 해야 합니다만, 가능한 작은 소리로 거의 들리지 않게 해야 합니다.

- 자비송

- 대영광송

(대림 시기와 사순 시기를 제외한 모든 주일, 대축일, 축일 또는

지역의 성대한 축제에는서서‘대영광송’을 모두 함께 또는 번갈아 노래하거나 외운다.)

- 본기도(오늘 미사의 기도)

† 기도합시다.

(사제와 교우들은 잠깐 묵묵히 기도한다.)

† …… 비나이다. <또는> …… 다스리시나이다.

◎ 아멘.

하고 나면 신부님은 자리로 옮기십니다.

이때 대.소복사는 신부님을 따라가서 신부님이 앉으실 때에 제의 뒷자락을 잡고

(제의가 구겨지지 않도록) 신부님이 앉으신 후 의자 뒤에 걸치고 나서

대.소복사는 신부님 양 옆에 앉습니다.

- 제1독서(오늘 미사의 독서) □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오늘 미사의 노래)

- 제2독서(오늘 미사의 독서) □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부속가(오늘 미사의 노래)

- 복음 환호송 (‘알렐루야’ 또는 다른 성가가 따른다.)

신부님과 함께 일어서서 제대를 향해 절을 합니다.

(봉음을 봉독할 부제는 주례 앞에 나아가 고개를 숙이고 축복을 청한다.)

신부님이 독서대로 향하면 성당에 따라 대소복사가 독서대 양 옆으로 서는 경우

혹은 신부님 뒤 양 옆으로 서는 경우가 있으니 이는 성당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복 음(오늘 미사의 복음) †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이 끝나면 대.소복사는 신부님과 함께

성경에 절을 한뒤 자리에 돌아가 앉아 신부님의 강론을 듣습니다.

 

- 신앙고백

강론이 끝나고 신앙고백이 시작되면 자리에서 일어섭니다.

신앙고백을 신부님이 독서대에서 하실 경우엔 자리에 일어서 (합장자세로) 서 있으면 되고

신부님이 제대에서 하실 경우엔 제대 좌우 양옆으로 (합장자세로) 섭니다.

보편 지향 기도 ◎ 주님, 저희의 기도를 들어 주소서.

- 성찬 전례-예물 준비 이때 부터 복사들이 바빠집니다.

신자가 예물을 봉헌할 때에 신부님 보다 앞서 제대에 내려가

신부님 좌.우에 서서 신자들이 봉헌하는 예물 (성합과 주수병)을 신부님으로 부터 건네 받습니다.

이때 대복사는 주수병을 받고 소복사는 성합을 받습니다.

- 봉헌성가

대복사는 주수병을 들고 주수대에 가져다 놓고 소복사는 성합을 제대위에 올려 놓고

대복사와 함께 주수대 앞으로 갑니다.

그리고 대복사는 술(포도주)병을 소복사는 물병을 들고 함께 신부님 곁으로 갑니다.

신부님이 대복사로 부터 술(포도주)병을 받아 성작에 술(포도주)을 따릅니다.

신부님이 소복사로 부터 물병을 받아 성작에 물을 한방울 따릅니다.

그리고 나서 신부님에게 인사를 하고 다시 주수대로 갑니다.

대복사는 신부님이 손씻을 물을 들고 소복사는 수건을 들고 다시 함께 신부님 곁으로 갑니다.

신부님이 손을 씻으시고 손을 닦으신 후 신부님과 복사는 서로 감사의 인사를 합니다.

그리고 (성당마다 다른데), 대복사는 종 앞에 섭니다.

이때에 소복사는 대복사와 함께 서는 경우도 있고 제대 반대편에 소복사가 서는 경우도 있습니다.

- 예물기도

- 감사기도(감사송)

감사송이 끝나고 거룩하시도다( x3)~~~가 시작할 때에 복사는 무릎을 꿇습니다.

- 에페클레시스 (축성기원)

† 거룩하신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모든 거룩함의 샘이시옵니다.

간구하오니, 성령의 힘으로 이 예물을 거룩하게 하시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 피가 되게 하소서.

중에서 신부님께서 "간구하오니, 성령의 힘으로" 할 때에 대복사는 종을 칩니다.

(신부님이 성령의 힘으로 할 때에 손을 성합/성작에 손을 올리시고 축성을 하십니다.

이때 부터는 제병과 포도주가 성체와 성혈이므로 모든 행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스스로 원하신 수난이 다가오자, 예수께서는 빵을 들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쪼개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나이다.너희는 모두 이것을 받아 먹어라. 이는 너희를 위하여 내어 줄 내 몸이다.

하면 종을 칩니다.

그리고 신부님이 성체를 내려 놓으시고 절을 하실 때에 종을 치는 경우도 있고 안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당마다 달라요.

저녁을 잡수시고 같은 모양으로 잔을 들어 다시 감사를 드리신 다음, 제자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나이다.

너희는 모두 이것을 받아 마셔라. 이는 새롭고 영원한 계약을 맺는 내 피의 잔이니 죄를 사하여 주려고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 흘릴 피다.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할 때에 종을 칩니다.

그리고 신부님이 성혈을 내려 놓으시고 절을 하실 때에 종을 칩니다.

종을 치는 경우도 있고 안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당마다 달라요.

† 신앙의 신비여! ~~~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아버지를 찬양하게 하소서.

- 마침영광송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스도와 함께 ~~~~ 영원히 받으소서 ◎ 아멘

복사들은 일어선다. (대복사 소복사가 함께 서 있던 경우 소복사는 제대 반대편으로 가서 섭니다.)

- 주님의 기도

- 평화예식

평화를 빕니다. 하고 신자들에게 인사를 하고 신부님은 대복사-소복사 순으로 인사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대.소복사들끼리 인사를 나눕니다.

- 하느님의 어린양 ~ 평화를 주소서.

복사들은 무릎을 꿇는다.

- 영성체송

- 영성체 예식

복사는 신부님에 앞서 제대에 내려가 영성체 예식을 준비한다.

신부님 외에 성체분배자가 있는 경우 소복사는 성체분배자를 인도합니다.

성체가 행진 할 때에는 항상 복사가 앞장서야 합니다.

이때 복사의 역할은 성체가 행진하는데에 있어 모든 장애물을 제거해야 하는 역할입니다.

(속으로 "길을 비켜라!" 하시면 됩니다.)

 

영성체 예식 때에 복사들은 그냥 옆에 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복사들은 이때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복사들은 신자가 성체를 받고

영하지 않는 경우 또는 성체를 떨어뜨리는 경우 등 성체사고가 나는지 지키고 감시해야 합니다.

 

성체를 받고도 영하지 않고 들어 가는 경우 그 신자를 제지하고 신자인지의 여부를 묻고

그리고 세례명을 묻고 영성체를 영하지 않는 이유를 묻고 영하게 해야 합니다.

만약 그가 영성체를 영할 자격이 없는 자일 경우 신부님에게 데려 가야 합니다.

(그러면 신부님이 그 성체를 환수하고 신부님이 영합니다.)

 

성체를 떨어뜨리거나 조각이 나 떨어지는 경우 (잘 봐야 합니다.)

주변 모든 사람의 행동을 제지시켜야 합니다. (모두 동작 그만!!!)

그리고 떨어진 성체를 보호해야 합니다. 혹은 수건으로 그 성체를 덮어 놓고

사람들로 부터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고 신부님을 모시고 와야 합니다.

(절대 복사가 성체를 주우면 안됩니다.)

 

영성체 예식이 끝나면 제대 양 옆에서 신부님이 성함에 남은 성체를 정리하는 동안 기다리고

신부님이 성체를 보관하기 위해 성체를 감실에 넣고 감실 문을 닫은 뒤

신부님가 함께 감실을 향해 절을 합니다.

 

그리고 대복사는 주수대로 가서 물병을 들고 신부님 곁으로 가 성작에 물을 따릅니다.

그리고 신부님과 감사의 인사를 나눈 뒤 물병을 주수대에 갖다 놓고 다시 제대 양 옆에 섭니다.

신부님이 나머지를 정리하시고

- 영성체후 기도

- 전달사항

- 강복

- 파견

파견성가를 부르다가 신부님이 제대에 절을 하면 같이 절을 합니다.

그리고 복사들이 제대앞에 먼저 나가 신부님을 기다리면 신부님이 가운데 서십니다.

그리고 제대에 절을 하고 퇴장을 합니다. 퇴장할 때에도 복사는 항상 신부님 앞에 섭니다.

 

그리고 잊어서는 안되는 것이 있는데

복사가 신부님을 앞질러 가는 경우는 항상 신부님 오른쪽을 질러 가야 합니다.

절대 왼쪽으로 질러 가서는 안되며 신부님과 함께 움직이되 신부님의 움직임을

절대 방해해서는 안됩니다. (복사의 동작과 행동은 최소한 작고 최대한 간결하게 해야 합니다.)

 

제의방에 들어 오면 신부님이 고상에 절을 하시고 복사들에게 수고했다는 인사를 합니다.

그리고 신부님이 옷을 갈아입으시고 제의방을 나가십니다.

복사는 신자들이 파견성가를 끝내고 영광송이 끝나고 파견을 하게 되면

대소복사는 제대앞으로 나가 초의 불을 끕니다.

불을 끌 때에는 소복사가 끄는 순서는 켤때와는 반대로 즉 제대 바깥쪽 불 부터 끕니다.

 

2019.09.0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구약성경 - 구약성경의 구성 이상훈(요셉) 2019.07.02 489
공지 성경은 무엇인가 이상훈(요셉) 2019.07.02 506
공지 일상 기도문 - 『기톨릭 기도서』에서 이상훈(요셉) 2019.06.12 511
116 성령 칠은 4 장양숙(미카엘라) 2013.05.21 839
115 평화의 인사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16 3
114 신앙의 신비여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09 82
113 예물 봉헌과 봉헌 성가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07 75
112 신앙 고백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4.25 81
111 성주간의 전례와 의미! 성삼일 전례! file 이상훈(요셉) 2025.04.14 139
110 성당과 천주교회의 차이 file 이상훈(요셉) 2025.04.07 150
109 복음 선포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4.05 115
108 복음 환호송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29 159
107 부속가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21 122
106 성경의 선포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16 150
» 미사에서 복사의 역활 (대복사와 소복사) 이상훈(요셉) 2025.03.11 121
104 말씀 전례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07 152
103 본기도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28 107
102 대영광송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22 169
101 자비송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16 172
100 참회 예식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07 185
99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01 185
98 입당 성가와 입당송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1.26 211
97 ‘대영광송’은 왜 대림 시기와 사순 시기에는 바치지 않나요? 이상훈(요셉) 2024.12.16 495
96 교황, 2025년 희년 공식 선포 이상훈(요셉) 2024.12.15 285
95 기본 교리서 - 칠성사(七聖事)란? 이상훈(요셉) 2024.01.20 184
94 대세代洗는 무엇이며, 누가, 어떤 경우에 할 수 있나요? 이상훈(요셉) 2023.10.09 269
93 주님 부활 대축일 날짜, 왜 매년 바뀔까 이상훈(요셉) 2023.03.18 284
92 천주의 성모마리아 대축일 … 유래와 의미 이상훈(요셉) 2022.12.30 288
91 올바른 세례명 표기법 file 이상훈(요셉) 2022.11.08 1943
90 구약성경 시편에 나오는 셀라(Selah)의 뜻 4 이상훈(요셉) 2013.06.12 5996
89 삼종기도의 유래 file 이상훈(요셉) 2013.06.19 821
88 아카펠라 이상훈(요셉) 2022.06.06 265
87 성당과 본당차이 이상훈(요셉) 2019.03.21 398
86 파티마의 성모 이상훈(요셉) 2022.08.12 355
85 성모의 밤’ 기원과 의미 file 이상훈(요셉) 2022.05.29 1218
84 사순시기 의미와 전례 1 file 이상훈(요셉) 2022.02.13 48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미 사 시 간
구분 남지 부곡
   
00:00  
00:00  
00:00
00:00
3월~9월(하절기)
20:00
10월~2월(동절기)
19:00
주일 10:30  

50357 창녕군 남지읍 동포로 18 남지성당
전화 : 055-526-2268 , 팩 스 : 055-526-2262

Copyright (C) 2020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