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8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교황 바오로 6세는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을 가리켜 우리가 생명의 근원이신 성자를 맞아들이게 해주신

거룩한 어머니께 드리는 특별한 존엄성을 찬미하는 날이라 밝혔다.

 

* 작품 : [성모 대관식(The Coronation of the Virgin)]1645, Oil on canvas, 178 x 135 cm, Museo del Prado, Madrid -디에고 벨라스케스(Diego Rodriguez d e Silva y Velazquez)

 

새해의 처음을 여는 1월 1일은 전례력으로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이다.

하느님의 어머니인 성모 마리아를 기념하고 ‘구원의 협력자’로서의 마리아를 공경하는 의무 대축일이다.

로마가톨릭교회 전례에서 가장 오래된 마리아 축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축일은 3세기 이전부터 형성된 대중 신심의 하나인 성모 공경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성모 공경 신심의 확대 발전은 에페소공의회(431년)를 통해

성모께 ‘테오토코스’(하느님을 낳으신 분, 천주의 모친, 하느님의 어머니)라는 호칭이 부여되기에 이른다.

에페소공의회 개최 당시 예루살렘에서는 ‘성모 마리아의 죽음(천상 탄생) 축일’을 8월 15일에 지냈는데,

그렇게 볼 때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성모 공경은 8월 15일에 기초를 두고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에페소공의회 후 성모 신심이 촉진되고 마리아 축일 제정이 시작되면서

하느님 어머니 축일은 예루살렘뿐 아니라 여러 동방교회에 확산됐다.

특히 ‘주님께서 사람이 되셨다’는 성탄 축일 신비와 연계되면서

일부 동방교회에서는 예수 성탄 대축일 다음날인 12월 26일에 ‘하느님의 어머니 축하 축일’을 지냈다고 한다.

서방교회에서는 7세기부터 이 축일을 1월 1일에 지냈다.

로마교회가 그 처음으로 전해지며 ‘성모 천상 탄생 축일’로 1월 1일을 기념했다고 알려진다.

이후 성모승천대축일(8월 15일)과 성모성탄축일(9월 8일)이 도입되면서 성모 공경은 확대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트리엔트공의회 이후 ‘주님의 탄생(성탄) 팔일 축제’가 생기면서 축일의 뜻이 흐려지고

그로인해 중세, 근세를 거치면서 성모 축일로서의 의미는 상당히 약화됐다.

이런 흐름 속에서 1969년 ‘하느님의 어머니’를 강조하고 기념하게 되면서

1월 1일이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로 지정됐다.

특별히 ‘로마에서 1월 1일에 지내던 성 마리아 천상탄생(Natale Sanctae Mariae) 의미가 다시 부활된 것이다.

이같이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은 로마에서 지내던 성모대축일 본래의 뜻을 회복했다는 점이 가장 큰 의미로 부각된다.

그리고 이날은 아기 예수 탄생의 연장인 팔일 축제로서

성모의 역할을 칭송하는 성모 공경 취지를 담고 있는 것과 함께

새해에 대한 축복과 평화의 기원, 주님의 할례 등 전통적으로 교회 안에서 지내오던 축일 내용들을 그 이면에 포함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사도적 권고 「마리아공경」을 통해 교황 바오로 6세는 ‘옛 로마의 전례대로

1월 1일에 지내게 되는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은 구원의 신비 안에서 수행하신 마리아의 역할을 기념하고 ‘

우리가 생명의 근원이신 성자를 맞아들이게 해주신 거룩한 어머니께 드리는 특별한 존엄성을 찬미하는 날’이라고 밝히고 있다.

특히 1967년, 1월 1일이 평화의 날로 정해지면서 이 축일은 구원의 문을 여는 성모에게 새해 첫날을 봉헌한다는 뜻이 더해졌다.

바오로 6세는 “이날은 갓 태어나신 평화의 왕을 경배하고 천사가 전해준 기쁜 소식을 다시 한 번 들으며

평화의 모후를 통해 하느님께 평화의 고귀한 선물을 청하는 좋은 기회가 된다”고 제정 의미를 강조한 바 있다.

구세주가 오실 수 있도록 응답하면서 구세사의 길을 열었고

예수 탄생에서부터 골고타 언덕까지 예수 그리스도를 따랐던 마리아는 성령 강림날 이뤄진 교회 탄생에서부터

마지막 날까지 교회의 원형으로 함께하신다. 또 당신 안에 가장 아름답고 온전한 자세로 하느님 구원 사업에 협력하고 계신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은 이러한 뜻을 마음 안에 담으면서

마리아가 보여준 신앙인으로서의 모습을 우리 안에 실현하려는 자세를 요구한다.
 

 ▲ 성모 마리아는 예수님의 탄생에서부터 죽을 때까지 성자를 따르며 묵묵히 구원희 협력자로서 역할을 다했다.

*작품 : [마리아와 아기 그리스도, 성 스테파노…]1520, oil on canvas, 132 x 108 c m, Louvre Museum -베첼리오 티치아노(Vecellio Tiziano)

 

이주연 기자 (miki@catimes.kr)

 

----------------------------

가톨릭 신문 - 발행일 | 2012-01-01 [제2777호, 3면] 기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구약성경 - 구약성경의 구성 이상훈(요셉) 2019.07.02 489
공지 성경은 무엇인가 이상훈(요셉) 2019.07.02 506
공지 일상 기도문 - 『기톨릭 기도서』에서 이상훈(요셉) 2019.06.12 511
116 성령 칠은 4 장양숙(미카엘라) 2013.05.21 839
115 평화의 인사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16 3
114 신앙의 신비여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09 82
113 예물 봉헌과 봉헌 성가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5.07 75
112 신앙 고백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4.25 81
111 성주간의 전례와 의미! 성삼일 전례! file 이상훈(요셉) 2025.04.14 139
110 성당과 천주교회의 차이 file 이상훈(요셉) 2025.04.07 150
109 복음 선포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4.05 115
108 복음 환호송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29 159
107 부속가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21 122
106 성경의 선포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16 150
105 미사에서 복사의 역활 (대복사와 소복사) 이상훈(요셉) 2025.03.11 121
104 말씀 전례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3.07 152
103 본기도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28 107
102 대영광송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22 169
101 자비송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16 172
100 참회 예식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07 185
99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 - 본당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2.01 185
98 입당 성가와 입당송 - 본당 신부님 file 이상훈(요셉) 2025.01.26 211
97 ‘대영광송’은 왜 대림 시기와 사순 시기에는 바치지 않나요? 이상훈(요셉) 2024.12.16 495
96 교황, 2025년 희년 공식 선포 이상훈(요셉) 2024.12.15 285
95 기본 교리서 - 칠성사(七聖事)란? 이상훈(요셉) 2024.01.20 184
94 대세代洗는 무엇이며, 누가, 어떤 경우에 할 수 있나요? 이상훈(요셉) 2023.10.09 269
93 주님 부활 대축일 날짜, 왜 매년 바뀔까 이상훈(요셉) 2023.03.18 284
» 천주의 성모마리아 대축일 … 유래와 의미 이상훈(요셉) 2022.12.30 288
91 올바른 세례명 표기법 file 이상훈(요셉) 2022.11.08 1943
90 구약성경 시편에 나오는 셀라(Selah)의 뜻 4 이상훈(요셉) 2013.06.12 5996
89 삼종기도의 유래 file 이상훈(요셉) 2013.06.19 821
88 아카펠라 이상훈(요셉) 2022.06.06 265
87 성당과 본당차이 이상훈(요셉) 2019.03.21 398
86 파티마의 성모 이상훈(요셉) 2022.08.12 355
85 성모의 밤’ 기원과 의미 file 이상훈(요셉) 2022.05.29 1218
84 사순시기 의미와 전례 1 file 이상훈(요셉) 2022.02.13 48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미 사 시 간
구분 남지 부곡
   
00:00  
00:00  
00:00
00:00
3월~9월(하절기)
20:00
10월~2월(동절기)
19:00
주일 10:30  

50357 창녕군 남지읍 동포로 18 남지성당
전화 : 055-526-2268 , 팩 스 : 055-526-2262

Copyright (C) 2020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